291 0 0 4 34 0 4년전 0

소월의 노래1 소월의 꽃

깊이 읽는 한국의 명시 김소월편

소월은 시간이 오래 흘러도 변함없이 친숙한 이이다.그가 7.5조의 율로 읊어낸 우리 민족의 한과 정서는 우리의 마음을 대변해왔고,섬세한 그의 눈길은 우리가 스쳐 지나간 것들을 붙잡아 주었다. 그리고 그는 짧고 힘들었던 그의 시간 속에서 당대의 시의 흐름을 바꾸고 높여 주었다. 소월의 시는 생전에 출간되었던 진달래꽃에 수록된 127편 외에 얼마간의 유고도 있다. 이제 조심스럽게 그의 작품들을 몇 묶음의 노래로 나누어 보려고 한다. 첫 묶음은 꽃처럼 아름답게 그를 스쳐갔던 자연에 대한 그의 감상을 바라보기 위한 것이다. 두 번째 묶음은 가족과 이웃과 친구를 포함해서, 사람이 모여 사는 생활에 대한 그의 애잔한 사랑을 전해받기 위한 것이다. 세 번째 묶음은 자신이 겪은 시대와 삶에 대한 그의 깊은 ..
소월은 시간이 오래 흘러도 변함없이 친숙한 이이다.그가 7.5조의 율로 읊어낸 우리 민족의 한과 정서는 우리의 마음을 대변해왔고,섬세한 그의 눈길은 우리가 스쳐 지나간 것들을 붙잡아 주었다.
그리고 그는 짧고 힘들었던 그의 시간 속에서 당대의 시의 흐름을 바꾸고 높여 주었다.
소월의 시는 생전에 출간되었던 진달래꽃에 수록된 127편 외에 얼마간의 유고도 있다.

이제 조심스럽게 그의 작품들을 몇 묶음의 노래로 나누어 보려고 한다.
첫 묶음은 꽃처럼 아름답게 그를 스쳐갔던 자연에 대한 그의 감상을 바라보기 위한 것이다.
두 번째 묶음은 가족과 이웃과 친구를 포함해서, 사람이 모여 사는 생활에 대한 그의 애잔한 사랑을 전해받기 위한 것이다.
세 번째 묶음은 자신이 겪은 시대와 삶에 대한 그의 깊은 고뇌와 슬픔을 위로해 보기 위한 것이다.

시는 어떤 사람의 호흡이다.
살면서 만나는 모든 것에 대해 들이마시고 내쉰 호흡의 흔적이다.
100년 전 그는 무엇을 바라보고 무엇을 느꼈는가.
우리가 아는 소월은 진달래꽃과 산유화 속에, 뜰에 반짝이는 금모래 안에만 있었을지도 모른다.
시간을 거슬러 그의 노래를 다시 들어본다.



김소월. 1902~1934. 시인의 본명은 김정식이지만 어릴 때 살던 곳의 뒷산인 소산에 뜨는 달을 좋아해서 얻은 아호 “소월”로 더 잘 알려져 있다.

그는 평안북도 구성에서 태어나 남산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오산고등학교에서 수학하다가 그곳에서 그의 평생의 스승인 김 억을 만났다.

1920년 동인지 [창조] 5호에 「낭인의 봄」, 「야의 우적」, 「그리워」 등를 발표한 것이 글을 쓰는 그의 삶의 시작이었다고 할 수 있다.

3.1. 운동의 여파로 다니던 오산 학교가 문을 닫자 경성 배재고등보통학교에 편입한 후부터 [개벽]을 중심으로 활발한 작품 활동을 했다.
우리에게 친숙한 「금잔디」, 「엄마야 누나야」, 「진달래꽃」, 「개여울」, 「제비」, 「강촌」 등이 이 시기에 쓰였으며, 1923년 같은 잡지에 실린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가는 길」, [배재] 2호에 실린 「접동」도 이 시기의 작품이다.

졸업 후에는 다시 일본 도쿄 상과대학에 진학했지만 관동 대지진이 일어나자 중퇴하고 귀국했으며, 귀국 후에 서울에서 문인 나도향을 만나 함께 동인으로 활동하며 친분을 쌓기도 했다고 한다.

고향으로 돌아와 조부가 운영하시던 광산 일을 돕다가 사업이 실패하자, 처가가 있는 곳에서 동아일보 구성지국을 경영하게 되었으나 그것도 순조롭지 않았다.

사업의 거듭된 실패는 그를 경제적, 심리적으로 심하게 압박했고, 삶에 대한 무력감으로 1930년대에 들어서는 작품 활동도 저조해졌다. 그는 결국 14세에 만나 결혼한 아내 홍단실과 자녀들을 남겨두고 32세의 젊은 나이에 스스로 삶을 마감했다.

그의 활동은 1925년 시집 [진달래꽃]을 내고, [개벽]에 시론 「시혼」을 발표한 것이 절정이었다. 첫 시집이자 생전의 유일한 출간물이 된 [진달래꽃]에는 여성적 화자를 통해 이야기하던 그의 전반기 작품의 경향이 잘 드러나 있다.

민족적인 정서를 민요조의 운율에 맞춰 노래하던 그는 꽃을 포함한 모든 자연과 생의 순환적 원리에 순응하는 고찰을 깊이 있게 풀어냄으로써 시대와 사조에 상관없이 사랑받는 시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